부모님 복지혜택, 몰라서 놓치지 마세요! 지금 확인하고 바로 신청하세요!
부모님 복지혜택, 몰라서 놓치지 마세요! 지금 확인하고 바로 신청하세요!
부모님께서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 알고 계신가요?
이동통신 할인 혜택과 신청 방법
1. 기초연금 수급자 할인:
-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 혜택: 월 최대 12,100원(부가세 포함 50%) 할인
- 신청 방법:
1) 전용 콜센터 '1523'으로 전화 신청
2) 통신사 고객센터(114)로 전화 신청
3) 통신사 대리점 방문 신청
4) 주민센터 방문 신청
2. 통신사별 시니어 전용 요금제: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특별 요금제 제공
- 예시:
- KT 효요금제: 9,680원 (3G 전용)
- LG유플러스 LTE 시니어 16.5: 16,500원 (음성 70분, 문자 100건, 데이터 300MB)
- 3사 모두 33,000원에 음성/문자 무제한 요금제 제공 (데이터 제한)
3. 신청 시 주의사항:
- 3대 통신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용자만 해당
- 알뜰폰 이용자는 혜택 대상에서 제외됨
-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음
4. 추가 정보:
- 일부 알뜰폰 사업자(예: KB리브모바일)에서도 유사한 복지할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니 확인 필요
- 정부24나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이동통신 및 유선전화/초고속인터넷 감면 신청 가능
3대 통신사 중 가장 저렴한 시니어 요금제는 어디인가요?
3대 통신사 중 가장 저렴한 시니어 요금제는 LG유플러스의 5G 시니어 C형 요금제입니다.
이 요금제는 8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며, 월 1만7150원으로 가장 저렴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알뜰폰 업체들이 제공하는 시니어 요금제가 3대 통신사보다 더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1. KT엠모바일의 '시니어 안심 2G+' 요금제는 월 8900원에 음성통화와 문자 무제한, 데이터 2GB(이후 400Kbps 속도로 무제한)를 제공합니다
2. 일부 알뜰폰 업체는 월 8800원에 음성과 데이터 무제한을 제공하는 요금제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저렴한 시니어 요금제를 찾고 계시다면, 3대 통신사뿐만 아니라 알뜰폰 업체들의 요금제도 함께 비교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요 세제혜택과 신청 방법
1. 노인 소득세 공제
- 70세 이상 노인의 경우 연간 100만원의 추가 소득공제 혜택
- 신청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동으로 적용됨
2. 노인 의료비 공제
-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비에 대해 15% 추가 공제
- 신청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의료비 영수증 제출
3. 주택연금 이자비용 소득공제
- 주택연금 이자비용에 대해 연 200만원 한도로 소득공제
- 신청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주택연금 이자비용 증명서 제출
4. 노인 장기요양보험료 세액공제
- 노인장기요양보험료에 대해 15% 세액공제
- 신청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동으로 적용됨
5. 노인 기부금 세액공제
- 65세 이상 노인이 기부한 금액에 대해 15% 세액공제 (3천만원 초과분 30%)
- 신청 방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부금 영수증 제출
6. 노인 재산세 감면
- 65세 이상 노인이 소유한 주택에 대해 재산세 감면 (지자체별로 상이)
- 신청 방법: 관할 지방자치단체 세무과에 신청
대부분의 세제혜택은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동으로 적용되거나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부 혜택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신청해야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국세청 홈페이지나 관할 세무서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 지원
노인을 위한 의료 지원 항목은 소득별, 소득 무관하게 다양한 혜택이 제공됩니다.
아래는 주요 의료 지원 항목과 신청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소득 무관 의료 지원
1. 건강검진
- 내용: 65세 이상 노인은 2년에 한 번씩 무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으로 대상자에게 안내문을 발송합니다.
안내문을 받은 후 지정된 병원에서 검진을 받으면 됩니다
2. 치매검진 및 진료비 지원
- 내용: 치매선별검사, 치매정밀검진, 치매감별검사 등을 무료로 제공하며, 치매 진단을 받은 저소득 노인에게는 진료비와 약제비를 매월 3만원 범위 내에서 지원합니다
- 신청 방법 : 가까운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치매 진단 후 보건소에 등록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안마바우처 제도
- 내용 : 65세 이상 노인에게 안마 비용의 90%를 지원합니다.
- 신청 방법 :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별 의료 지원
1. 의료급여
- 내용 : 저소득층 노인에게 외래 및 입원 진료비를 지원합니다. 1종 의료급여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이 거의 없으며, 2종 의료급여 대상자는 일부 본인부담금이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주민센터에서 의료급여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2. 개안수술 지원
- 내용 : 저소득층 노인(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에게 녹내장, 백내장, 망막질환 등의 개안수술비를 지원합니다.
- 신청 방법 : 주민센터나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무릎 인공관절 수술 지원
- 내용 :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를 지원합니다.
- 신청 방법 : 진단서를 발급받아 보건소에 제출하여 신청합니다.
4. 치과진료 지원
- 내용 : 저소득층 노인에게 틀니 및 임플란트 시술비를 지원합니다.
- 신청 방법 : 치과에서 상담 후,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이러한 의료 지원 혜택은 노인의 건강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도들입니다. 각 혜택의 구체적인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은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거나, 보건복지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웹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