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32만원 돌려 받으세요" 의료비 본인부담 초과금 확정 23일부터 신청

"평균 132만원 돌려 받으세요" 의료비 본인부담 초과금 확정 23일부터 신청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지출한 의료비 가운데 '본인부담상환액'을 넘어서는 금액에 대해 오는 23일 부터 환급신청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환급액 총 2조 4700억원으로 1인당 평균 132만원을  돌려받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환급금은 소득세도 동일합니다.  국세와 의료비 환급 방법이 궁금 하신 분은  다음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내가 더 낸 종합소득세, 부가세, 지방자치세 등 국세 미지급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과 신청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소득세) 미지급 환급금 조회방법 & 신청방법 국세(소득세) 미지급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는 온라인 2가지 오프라인 한가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① HOMETAX (홈택스) 국세청 홈페이지로 홈택스를 가장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사이트 입니다 공인 인증없이 회원가입 또는 휴대폰 인증으로도 빠르고 간편하게 미지급 환급금 조회 및 시청이 가능합니다 - 접속 사이트 : https://www.hometax.go.kr 홈택스 홈페이지 환급금 탭을 선택하면 본인 인증 후 조회가 가능합니다 ② 손택스 (모바일 앱) 손택스는 홈택스의 모바일 앱 버전입니다 개인 pc보다는 스마트폰 앱이 익숙한 분들을 위해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세금정보 앱입니다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거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회 및 신청 방법은 홈택스와 동일합니다 ③ 거주지 주변 세무서 어르신 분들이나 홈택스나 손택스에서 조회한 내용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가까운 동네 세무서에 방문하시면 본인의 미지급 환급금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전국 세무서 찾기 :  https://www.nts.go.kr/nts/taxSrch/taxSrchPage.do?mi=6761 다만 온라인과는 다르게 본인 인증을 위한 신분증이 필요하고 대기시간과 작성해야할 서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과다 청구된...

올겨울 도시가스 3% 이상 절감해 캐시백 받으세요

이미지
 “올겨울 도시가스 3% 이상 절감해 캐시백 받으세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들이 겨울철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 현금으로 보상해주는 제도입니다 동절기(12~3월)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받을 수 있고 신청자에 한해서만 지원 가능합니다. 놓치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신청 방법 ① K-가스캐시백 홈페이지( https://k-gascashback.or.kr)에 접속합니다 ②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개별난방 사용자의 경우] 1인 1 고객식별번호만 신청 가능합니다 필요 서류: 도시가스 고지서, 가입자와 도시가스 계약자가 다른 경우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 [중앙난방 사용자의 경우] 관리사무소나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신청해야 합니다 필요 서류: 사업자등록증(고유번호증), 법인 통장사본, 최근 발행된 도시가스 고지서 1부 ■ 참여대상   ‘주택난방용/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가능. 단, 난방 목적이 아닌 취사용/취사전용 요금제 사용자, 전출 세대 등 전년도 사용량 자료가 없는 세대는 참여 제외 ■ 캐시백 지급 안내 ① 캐시백 지급 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② 캐시백 지급 방식  절감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번호로 현금 지급 ('25년 6월말 예정) ③ 절감량 산정예시  12월~3월 사용량에 대하여 1월~4월 고지서로 절감량 계산 (부피 단위) ■ 문의 방법  K-가스 캐시백 콜센터 02-6022-0905  (운영시간 : 평일 10:00~17:00, 주말 공휴일 제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인당 평균 131만원 돌려받는다...실질 소득 감소한 직장인, 자영업자 대상

이미지
1인당 평균 131만원 돌려받는다...실질 소득 감소한 직장인, 자영업자 대상 실질 소득이 감소한 직장인, 자영업자 대상  건강보험료 폭탄을 방지할 수 있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이 본격 시행 됩니다 이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6개월 내에 기존에 과다 책정된 건강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소급 기간은 지난 2022년 9월까지 입니다 환급 신청 바로가기 건강보험료 환급을 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급 대상 확인 1. 건강보험료를 과다 납부한 경우 - 자격 변동(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등)이나 소득/재산 변화로 인해 보험료를 잘못 부과받은 경우 2. 전년도 본인부담 의료비가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한 경우 - 소득분위에 따라 본인부담상한액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초과한 금액은 환급 대상 3. 버팀목, 디딤돌 대출 등 기타 정부 지원 대출을 받은 경우 건강보험료 환급 소멸시효 국민건강보험법 제91조에 따르면, 건강보험료 과오납부 금액을 환급받을 권리는 3년 동안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됩니다 즉, 과오납부한 건강보험료는 3년 이내에 환급을 신청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급받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12월에 과오납부한 금액에 대해서는  2024년 12월까지 환급을 신청해야 합니다 환급금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건강보험료 환급을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www.nhis.or.kr ) 또는 모바일 앱에 로그인합니다 2.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를 찾아 들어갑니다 3. 환급 대상 여부와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온라인 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환급금 신청을 진행합니다 5. 신청 정보(계좌번호 등)를 입력하고 최종 제출합니다 6. 신청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환급금은 입력한 계좌로 입금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본인인증 후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환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아직도 국민연금 100% 내고 계신가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신청하세요

이미지
아직도 국민연금 100% 내고 계신가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신청하세요 온라인 오프라인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를 지원하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 아시나요? 소규모 사업장의 사회보험 가입 부담을 덜어주고  직장인들의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사업 신청 지원 내용 - 신규가입 근로자 및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 지원 - 지원기간: 신규가입자 및 기가입자 지원을 합산하여 36개월까지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접속 :  www.4insure.or.kr - [사업장 업무] - [성립 신고] - [두루누리보험료지원] 선택 2. 서면 신청 (방문, 우편, 팩스) -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제출처: 사업장 소재지 관할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3. 찾아가는 서비스 -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로 전화 - 직원이 방문하여 가입상담 및 신청 안내 제출 서류 - 미가입 사업장: 보험관계성립신고서 및 피보험자격취득신고서(또는 근로내용확인신고서) - 기가입 사업장: 보험료지원신청서 지원금액 예시 월평균 보수 2,699,000원 기준 - 사업주: 월 최대 121,980원 지원 - 고용보험: 월 24,820원 - 국민연금: 월 97,160원 - 근로자: 월 최대 121,980원 지원 - 고용보험: 월 19,430원 - 국민연금: 월 102,550원 지원 대상 -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 중 월평균보수가 270만원 미만인     신규가입 근로자와 그 사업주 - 신규가입자: 지원신청일 직전 6개월간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자격취득 이력이 없는 근로자 - 2021년부터는 신규가입자에 대해서만 지원 (기가입자 지원 중단) 지원 제외 대상 -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 재산의 과세표준액 합계가 6억...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 대상 확대…‘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

이미지
2024년 9월 2일부터 시작된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정책 알고 계신가요? 신청자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바로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 지원 대상 1. 연 매출액 기준 '22년 또는 23년 연 매출 1억 4백만 원 미만의 소상공인이 지원 대상입니다 이는 기존의 연 매출 6천만 원 이하에서 확대된 기준입니다 ※ 소상공인 연 매출액 확인 :  https://www.hometax.go.kr 2. 업종 제한 유흥 및 도박 관련 업종 등 정책자금 지원 제외 업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3. 사업자 조건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업한 사업자여야 하며,  국세청 조회 기준으로 폐업 상태가 아니어야 합니다 √ 지원 기준 1. 중복 수급 방지 1인이 다수 사업체의 대표인 경우, 1곳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공동대표가 운영하는 사업체도 대표 1인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기존 신청자 상반기 1~3차 신청자 중 매출액 기준 초과로 지원받지 못한 소상공인은  이번에 확대된 기준을 충족할 경우 이번에는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 금액 - 최대 20만 원까지 전기요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소상공인전기요금특별지원.kr '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오프라인 지원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전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77개 지역센터를 방문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필요 서류 1.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한 경우 사업자 정보와 한국전력 고객 번호 입력 2. 비계약 사용자(관리비 등에 전기료 포함 납부하는 경우) 사업자 정보, 한국전력 고객 번호와 월 1만 2천 원 이상 납부한 영수증 제출 √ 문의처 - 자세한 사항은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상담실(콜센터) 1533-0200에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액은 어떻게 계산 되나요?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의 지원금액은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지원금액은 신청자의 ...

신축 아파트 하자 문제, "코로나 시기 지어진 아파트 피하라" 주장까지

이미지
 신축 아파트 하자 문제, "코로나 시기 지어진 아파트 피하라" 주장까지 최근 신축 아파트에서 주차장 침수 등 대규모 하자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부동산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2019~2022년 지어진 아파트는 피하라"는  주장이 제기 되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준공 정보 확인 방법 - 국토 교통부 :  https://rt.molit.go.kr 신축 아파트 하자 건수, 2021년 최다 기록 국토교통부가 지난 5월 22일부터 30일까지 전국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을 특별점검한 결과,  전국 23개 단지에서 1000여 건의 하자가 적발되었습니다.  2010년에는 69건에 불과했던 신축 아파트 하자 건수는 2015년 4000건대를 돌파한 이후  매년 4000건 안팎으로 유지되었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1년에는 7686건으로  최다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들 1. 전남 무안군 B아파트    - 지난 5월 말 입주를 시작한 이 아파트는 사전점검에서 5만8000건에 육박하는        하자가 발생해 시공사 대표가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2. 대구 달서구 C아파트    - 사전점검 당시 엘리베이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규격에 맞지 않는        비상계단을 깎아내는 등 하자로 입주민들의 원성을 샀습니다¹². 3. 화성시 신축 아파트    - 지난 17일에는 화성시의 한 신축 아파트에서 지하주차장이 누수로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부실 시공의 원인 건설업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최근의 부실 시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한 중소 건설사 대표는 "팬데믹 기간 건설자재 공급이 원활치 않아 공사 일정이 꼬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며...

전용 59㎡ 소형 아파트, 이유 있는 '품귀 현상' 전국 인기 지역, 인기 단지는?

이미지
전용 59㎡ 소형 아파트, 이유 있는 '품귀 현상' 전국 인기 지역, 인기 단지는? 이른바 국민평형으로 불리며 시장 수요가 가장 높았던 전용면적 84㎡의 인기가 최근 들어 식고 있다.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1~2인 가구 증가로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시장의 관심이 59㎡로 옮겨가는 분위기다. 2015년 1019만7000가구에 불과했던 1~2인 가구수는 2022년에는 356만6000가구 줄어든 1376만3000가구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4인 이상 가구수는 481만3000가구에서 382만6000가구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약시장에서는 중소형 아파트가 더욱 주목 받는 분위기다.  올 1분기(1~3분기) 기준 85㎡ 이하 일반공급 물량은 총 5만76가구이며 총 청약자 수는 30만5309건이다.  반면 85㎡ 초과는 총 1만867가구가 일반 공급 됐으며 청약 건수는 3분의1 수준인 9만703건에 불과했다. 분양가 상승 여파로 자금 마련의 문턱이 높아짐에 따라 중대형 아파트 수요가 줄어든 영향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 6억원 미만의 소형 아파트도 찾기가 힘들어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5월까지 서울에서 매매 거래된 59㎡ 이하 아파트의 37%만이 6억원 미만 거래로 조사됐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1~5월 기준) 이후 가장 낮은 비율이다. 해당 기간 동안 서울의 전용 59㎡ 이하 아파트는 매매 거래량이 총 8180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1~2인가구 증가와 전셋값, 분양가의 상승으로 소형 아파트 매물과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국 소형 아파트 거래량 상위 5개 지역과 거래 가격] 1. 서울특별시    - 거래량: 4,220건    - 평균 거래 가격: 6억 ~ 9억원 2. 부산광역시    - 거래량: 3,790건...

'아프면 쉴 권리' 상병수당 시범사업 연장...재산/소득 기준 無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이미지
'아프면 쉴 권리' 상병수당 시범사업 연장...재산/소득 기준 無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상병수당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 없는 부상이나 질병으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소득을 보전해주는 제도입니다.  현재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상 조건, 지원내용,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조건 1. 연령 조건:    - 만 15세 이상 ~ 65세 미만 2. 소득 조건:    - 재산, 소득기준 없음 3. 지역 조건:    - 시범사업 대상 지역 거주자 또는 해당 지역 소재 사업장 근로자       대상지역 안내 :  https://www.nhis.or.kr/nhis/policy/wbhaea03600m01.do       * '25년 전국 지원 예정 4. 취업 상태 조건: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또는 고용·산재보험 가입자 (가입기간 1개월 이상)    - 자영업자 (사업자등록 3개월 유지 + 전월 매출 206만원 이상, 2024년 기준) 지원내용 - 하루 최저임금의 60% 수준인 43,960원 지급 - 1인당 평균 18.5일, 84.7만 원 수급 (2024년 1월 기준) 신청방법 1. 의료기록 준비:    - 의료기관에서 의료이용을 증빙할 의무기록 발급 2. 근로중단확인서 준비 (사업장 근로자의 경우):    - 사업장에서 의료 이용기간 동안 근무 여부와 보수 지급 여부가 작성된 '근로중단확인서' 수령 3.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또는 관할 지사 방문 신청    - 구비서류: 신청서, 의무기록, 근로중단확인서 등 4. 자영업자의 경우:    - 취업자 자격 및 일정 기준 이상의 매출액 발생 사실을 증명    ...